TSMC와 공급망 동맹 강화삼성·SK·퀄컴·인텔과
페이지 정보

본문
TSMC와 공급망 동맹 강화삼성·SK·퀄컴·인텔과의 글로벌 AI 전선도 주목[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세계 최대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오는 19일 ‘컴퓨텍스 2025(COMPOTEX 2025)’ 기조연설을 통해 대만 타이베이에 아시아 본사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AI 반도체 공급망의 전략적 핵심인 TSMC와의 협력 확대와 지정학적 리스크 분산을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월 6일 미국 네바다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번 컴퓨텍스의 주제는 ‘AI 넥스트(AI Next)’. 젠슨 황은 첫 기조연설자로 나서 AI 가속 컴퓨팅, 물리 기반 AI, 에이전트 AI 등 차세대 기술 비전과 엔비디아의 미래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 퀄컴의 크리스티아노 아몬 CEO, AMD, 인텔 등이 순차적으로 AI 전략과 제품을 발표하며 글로벌 AI 반도체 경쟁의 구도가 더욱 명확해질 전망이다.엔비디아는 이미 TSMC의 4nm 및 3nm 공정을 기반으로 자사 AI GPU를 위탁 생산 중이며, 앞으로 실리콘 포토닉스, CoWoS(웨이퍼 온 웨이퍼) 등 차세대 기술 공동 개발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에 신설되는 아시아 본사는 타이베이 시내 약 3만㎡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며, 본사 위치 및 착공 시점 등은 컴퓨텍스에서 구체적으로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 엔비디아의 대만 본사 설립은 미국 본사의 이전이 아닌 아시아 거점의 확대이며,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미국의 수출 규제에 대응하는 ‘동아시아 전초기지’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한국 기업들의 존재감도 커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난강전람관에서 PC용 SSD와 서버용 HBM 메모리, 데스크톱 PC/노트북용 차세대 규격인 LPCAMM 메모리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저전력 OLED, 폴더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출품하며 AI 디바이스의 차세대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퀄컴은 엣지 AI 전략, 인텔은 AI 가속기 ‘가우디3’와 파운드리 전략으로 각각 AI 경쟁에 뛰어들어 이번 컴퓨텍스는 기술, 공급망, 생태계 삼각축의 전면전 양상을 띤다.젠슨 황의 발표는 대만이 AI 시대의 전략적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다. AI 반도체, 공급망, 기술 파트너십을 한데 아우르는 이 발표는 글로벌 AI 전쟁의 판도를 다시 쓰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TSMC와 공급망 동맹 강화삼성·SK·퀄컴·인텔과의 글로벌 AI 전선도 주목[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세계 최대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오는 19일 ‘컴퓨텍스 2025(COMPOTEX 2025)’ 기조연설을 통해 대만 타이베이에 아시아 본사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AI 반도체 공급망의 전략적 핵심인 TSMC와의 협력 확대와 지정학적 리스크 분산을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월 6일 미국 네바다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번 컴퓨텍스의 주제는 ‘AI 넥스트(AI Next)’. 젠슨 황은 첫 기조연설자로 나서 AI 가속 컴퓨팅, 물리 기반 AI, 에이전트 AI 등 차세대 기술 비전과 엔비디아의 미래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 퀄컴의 크리스티아노 아몬 CEO, AMD, 인텔 등이 순차적으로 AI 전략과 제품을 발표하며 글로벌 AI 반도체 경쟁의 구도가 더욱 명확해질 전망이다.엔비디아는 이미 TSMC의 4nm 및 3nm 공정을 기반으로 자사 AI GPU를 위탁 생산 중이며, 앞으로 실리콘 포토닉스, CoWoS(웨이퍼 온 웨이퍼) 등 차세대 기술 공동 개발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에 신설되는 아시아 본사는 타이베이 시내 약 3만㎡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며, 본사 위치 및 착공 시점 등은 컴퓨텍스에서 구체적으로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 엔비디아의 대만 본사 설립은 미국 본사의 이전이 아닌 아시아 거점의 확대이며,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미국의 수출 규제에 대응하는 ‘동아시아 전초기지’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한국 기업들의 존재감도 커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난강전람관에서 PC용 SSD와 서버용 HBM 메모리, 데스크톱 PC/노트북용 차세대 규격인 LPCAMM 메모리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저전력 OLED, 폴더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출품하며 AI 디바이스의 차세대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퀄컴은 엣지 AI 전략, 인텔은 AI 가속기 ‘가우디3’와 파운드리 전략으로 각각 AI 경쟁에 뛰어들어 이번 컴퓨텍스는 기술, 공급망, 생태계 삼각축의 전면전 양상을 띤다.젠슨 황의 발표는 대만이 AI 시대의 전략적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는 강력한
- 이전글[남양주] 비아스타 25.05.18
- 다음글The following 3 Issues To immediately Do About PokerTube 25.05.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